본문 바로가기
건강, 질병

겨울철 생굴 조심! 노로바이러스 감염 증상 및 치료

by 바람상자 2023. 2. 5.
반응형

석화 생굴

얼마 전 딸아이가 다가와 친구가 응급실에 실려갔다고 하더군요. 음력설을 맞아 어린 사촌동생과 놀아주고 있다는 말을 얼핏 들었는데 갑자기 응급실에 갔다고 하니 놀랄 수밖에요. 어디가 아파서 갔냐고 물어보니 급성장염이 왔는데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됐다는 얘기를 들었답니다. 친척들과 모여 생굴을 먹었는데 그렇게 됐다고 하더군요.

 

그 얘기를 들으니 예전에 제가 강원도 쪽에 놀러 갔을 때 굴을 실컷 먹고 구토하고 난리가 났던 기억이 떠올랐습니다. 어찌나 고생했는지 그 뒤로는 생굴을 입에 거의 대지 못했습니다. 먹고 싶을 땐 무조건 굴국이나 굴전 등으로 만들어 반드시 익혀 먹었죠.

 

겨울철 식중독의 주요 원인이 노로바이러스인데 굴, 홍합, 가리비 등의 패류는 다양한 바이러스를 갖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중에서 생으로 먹는 게 굴이다 보니 노로바이러스를 일으키는 주범이 되어버린 것이죠. 실제로 주변에 식중독에 걸린 사람들 대부분이 굴을 먹고 탈이 난 경우가 많았습니다.

 

반응형

노로바이러스란?

노로바이러스는 사람에게 급성 위장염을 일으키는 전염성 바이러스로 입자가 매우 작고 공 모양으로 생겼습니다. 특히 낮은 온도에서 감염력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겨울 식중독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식품의 겉모양만으로 노로바이러스 존재여부를 알 수는 없습니다. 대개 식중독균에 감염된 음식은 맛을 보거나 육안으로 봤을 때 어느 정도 판별이 가능하지만 노로바이러스는 그렇지 않습니다.

 

전염성이 매우 강해 바이러스에 감염된 물이나 음식은 물론, 분변이나 침과 같은 분비물을 통해서도 쉽게 퍼집니다. 회복 후 2주 정도는 전염성이 그대로 유지되는 만큼 다른 사람과의 접촉은 되도록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노로바이러스의 가장 큰 약점은 뜨거운 온도입니다. 낮은 온도에서는 활발하게 움직이지만 섭씨 100도 이상 고온에서 1분간만 끓이면 사멸해버리고 맙니다. 그러니 냉장실에 있었던 음식이 뭔가 미심쩍다면 끓여 먹는 게 식중독을 예방하는 길입니다.

감염 증상

다양한 경로를 통해 노로바이러스가 몸 안으로 유입되면 대략 24~48시간의 잠복기를 거쳐 발병하게 됩니다. 갑자기 배가 아프고 속이 울렁거리면서 구토하게 되고 설사를 동반하는 것이 전형적인 증상입니다. 설사는 대개 하루에 4~8회 정도 있으며 세균성 이질과 같은 혈액변이나 점액변을 보는 건 아닙니다.

 

전신근육통과 두통이 있을 수 있고 몸에서 기운이 빠지며 38도가 조금 넘는 정도의 열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이런 증상은 보통 2~3일 정도 지속되다가 특별한 후유증 없이 자연적으로 회복하게 됩니다. 그러나 고령자, 암환자 등 면역저하자들은 일반인들과 달리 오래 앓을 수 있고 후유증이 생길 수 있으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반응형

치료

아직은 항바이러스제가 개발되어 있지 않아 대증치료를 하게 됩니다. 구토와 설사로 소실된 수분을 보충해 주는 것이 중요하며, 두통을 비롯한 각종 통증에는 진통제를, 구토에는 항구토제를 사용합니다. 설사가 심할 경우 지사제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설사가 줄어든다고 해서 전파력이 약해지는 건 아닙니다. 노로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려면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예방접종주사를 개발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임상실험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냈다고 보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합니다. 그러니 식중독 환자가 주변에 자꾸 생긴다면 손을 철저히 씻고 마스크도 잘 착용하는 게 좋겠습니다. 특히 겨울철에 날것으로 음식을 먹을 때 주의를 기울이고 몸이 조금 이상하다는 느낌이 오면 고생하지 말고 바로 병원으로 달려가는 게 낫습니다.

 

전 예전에 여행하던 중에 탈이 났었는데 처음엔 그게 식중독인 줄 모르고 그저 체했다고 여겨 소화제만 사서 먹었다가 그날밤에 엄청 고생했습니다. 여행 내내 음식 때문에 고역을 치렀고 컨디션도 너무 안 좋았습니다. 한번 호되게 당하고 나니 그 뒤로는 굴을 보기만 해도 꺼려지더군요. 함께 여행하던 가족에겐 다행히 전파되지 않았고 그럭저럭 약국에서 산 약으로 버텼지만 그 한 번의 경험 뒤로는 굴을 대할 때마다 항상 조심하게 되었습니다.

 

겨울철에 생굴 드실 땐 식중독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너무 많이 드시진 마세요. 잠깐 맛있게 먹었다가 그 곱절의 시간만큼 힘들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이만 글을 마칩니다.

반응형

댓글